대부분의 기능은 끝!
후우 필수요구는 다 끝냈으니 한시름 놨다
저장하는 기능이 가장 어려울거 같지만 뭐 못해도 큰 문제는 없겠지..
문법적으로 이제 모르는게 있는건 아니니까 이제 보고 이해를 못 할건 없다
시간이 좀 필요하고 구현하는 발상이 필요할 뿐이지..
어느 반으로 갈지 선택하라고 했는데....
챌린지반을 희망한다고 했다만.... 설마 상담하러 오는건 아니겠지.....
뭐 다만 각 반의 강의를 다 공개한다 하니 사실 어느 반을 가든 상관 없는게 아닌가 생각하고 있기도 하다.
요구 조건이 제어문이나 반복문이였나.... 그거 다룰줄 알고 간단한 정렬함수를 만들수 있으면 된다 했으니 뭐 최소 조건은 된다고 봐도 되겠지.... 됐으면 좋겠다
그나저나 드디어 기다리던 개인 피드백이 왔다
- 클래스를 잘 나누어 사용하셨습니다. - 기능 구현 잘 해 주었습니다. - JSON 활용 잘 해 주셨고 JSON 형식에 대해서도 한번더 확인해 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. - 변수명은 조금더 명확한 이름들이 좋을것 같습니다. - 상수값으로 비교를 할경우 매직 넘버를 만들어서 사용하면 가독성이 좋습니다. 변수나 열거형 int MenuOptionExit = 0; int MenuOptionShowInfo = 1; int MenuOptionShowInventory = 2; - Recovery와 같은 곳의 Console.ReadKey();를 합쳐서 하나로 처리 할수 있을것 같습니다. - 조금더 메서드를 추가하여 활용해 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.
흠.... 역시 예상했던 대로 함수를 멍청하게 쓴다는걸 지적당했다...
아 멍청하게 귀찮다고 두개로 만들 함수를 하나로 만들어서 진짜 바본가?
그리고 변수명도.... 그쵸..... 협업을 가정하고 배우는 곳이라 중요하다 생각한다..
그렇게 심했나.....
지역변수는 심각하게 막 하긴한거같다..... 이걸 지적당하는 바보는 나뿐이겠지....
리커버리 함수 이야기는 스위치문 이야기인데
case 1: readkey break; case 2: readkey break;
이딴식으로 우둔한짓 하지말고 스윗치문 끝나고
readkey 하나 달아두면 된다는 이야기다....
나 도대체 뭔 생각으로 그렇게 했지...?
.
가장 중요한건 매직넘버라 생각한다 솔직히 이 부분은 생각도 안 했다
그쵸.... 네.. 상수나 열거형의 개념이 그냥 주어지는게 아니지..
설명을 하자면 매직넘버란 아무런 설명없이 등장하는 상수인데
예를들면 if( 2 == milk ) 여기서 등장하는 2이다
이런 매직넘버 하나하나 열거형(혹은 변수)으로 정리하고 그걸로 쓰라는 의미이다
그나저나 json 형식에 대해 더 확인해봐라.... 복습하라는 의미겠지 음... 솔직히 관둘 생각이였는데 이번 팀 프로젝트에서 저장기능 역시 해볼까....
댓글
댓글 쓰기